어떤 생각?
사후 내 블로그는...?
chevy chevy
2010. 8. 13. 09:26
오늘, 다음포털 홈에서 사후의 미니 홈피에 대한 기사를 읽었다.
사실, 내가 나만의 블로그를 만들게 된 이유가..
2006년 4월, 한국 방문중 갑자기, 뇌출혈로 쓰러졌는데... 살 가망이 없다고...
함께 있던 아내에게.. 가족을 부르란 말에
미국,집에 있는 두 아들에게 한국으로 급히, 오라고 불렀는데
여권과 약간의 현금이 들어있는 설합(Chest) 의 열쇠가 어디있는지 모르니..
거의 부수다싶이 했더라.
수술후, 기적적으로 살아나 병원 퇴원하여 미국의 집으로 돌아와 생각하니
그나마, 여권등, 서류들이 설합에 있다는 사실은 알았으니 다행이지 몰랐다면.. 어찌했을까?
인생은 유한하여 언제 꺼질지도 모르고
집문서니, 보험 관계서류니 남겨질 사랑하는 가족에게 전하여야 할 정보들이 많더라.
또한, 그렇게 미국으로 돌아간 내,걱정이 궁금할 형과 동생에게 안녕을 전하려
내, 블로그가 태어났고... 어제가 1000 일이 되었다.
그런데, 불현듯 내가 죽은 후에 블로그의 내,소중한 글들은 어떻게 될것인가? 하는 물음이 생겼다.
물론, 답은 없으며 내가 어떻게 할 수도 없을 것이다.
기사를 발견한 순간, 같은 생각을 했던 나로선 해답이 있을까 반가웠는데... 여기에도 답은 없더라~~.
걱정도 팔자라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참고로 기사를 스크랩해서 올립니다.
[Why뉴스] 사후의 미니홈피, 온라인을 떠도는 이유는?
노컷뉴스 | 입력 2010.08.13 06:03
[CBS산업부 강현석 기자]
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시원히 짚어 준다. [편집자 주]
최근 미국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북'의 한 이용자가 죽은 친구로부터 초대를 받은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시원히 짚어 준다. [편집자 주]
최근 미국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북'의 한 이용자가 죽은 친구로부터 초대를 받은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이를 접한 누리꾼들이 충격을 받은 일이 있다.
미니홈피 등 각종 소셜 네트워크가 넘쳐나는 우리나라 역시 대책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아무런 대책도 마련돼
미니홈피 등 각종 소셜 네트워크가 넘쳐나는 우리나라 역시 대책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아무런 대책도 마련돼
있지 않다.
사망자의 온라인 정보 관리대책이 손쉽게 마련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 페이스북의 사례는 어떤 것인가?
사망자의 온라인 정보 관리대책이 손쉽게 마련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 페이스북의 사례는 어떤 것인가?
= 미국 텍사스에 사는 36살의 커트니 퍼빈씨는 지난 6월 페이스북을 이용하던 중 4년 전 자신의 결혼식 반주를
맡았던 친구로부터 접촉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받았다.
문제는 이 친구가 이미 4월에 사망한 '고인'이었다는 점. 당시 퍼빈 씨는 '죽은 친구가 살아돌아온 느낌을 받아
문제는 이 친구가 이미 4월에 사망한 '고인'이었다는 점. 당시 퍼빈 씨는 '죽은 친구가 살아돌아온 느낌을 받아
소름이 끼쳤다'고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전했다.
이는 연락이 뜸한 지인들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페이스북의 '푸시'기능의 부작용으로 볼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일들이 발생할 수 있나?
= 비공식적으로는 망자와 관련된 여러가지 사례가 있다.
실제로는 사망했는데도, 이를 모르던 일부 지인들이 망자의 미니홈피를 방문해 '잘 지내느냐'는 내용의 안부글을
이는 연락이 뜸한 지인들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페이스북의 '푸시'기능의 부작용으로 볼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일들이 발생할 수 있나?
= 비공식적으로는 망자와 관련된 여러가지 사례가 있다.
실제로는 사망했는데도, 이를 모르던 일부 지인들이 망자의 미니홈피를 방문해 '잘 지내느냐'는 내용의 안부글을
남겨 주변 사람들이 속앓이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 서비스 업체는 각종 온라인 계정 소유자가 숨진 사실을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 상에 사망자의 각종 정보
또 서비스 업체는 각종 온라인 계정 소유자가 숨진 사실을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 상에 사망자의 각종 정보
가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이와 관련해 천안함 사고 당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사망 장병의 여자친구가 망자의 미니홈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해 천안함 사고 당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사망 장병의 여자친구가 망자의 미니홈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니홈피에는 두 사람 사이의 추억이 담겨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지만, 서비스 업체인 SK커뮤니케이션즈는 '개인
미니홈피에는 두 사람 사이의 추억이 담겨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지만, 서비스 업체인 SK커뮤니케이션즈는 '개인
정보 취급방침'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SK컴즈는 "망자의 미니홈피에 대해 유가족이 요청할 경우, 계정 삭제가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반대로
이와 관련해 SK컴즈는 "망자의 미니홈피에 대해 유가족이 요청할 경우, 계정 삭제가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요청이 없을 경우에 망자의 미니홈피는 영원히 온라인 공간 어딘가에 남아있게 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 당혹스런 일들이 일어나고 주인없는 정보를 놓고는 분쟁도 일어날 수 있을 듯한데, 관련 대책은 없나?
=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무 대책도 현재는 없다.
물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별 사이트마다 사망자의 아이디를 삭제하는 등의 일종의 방침 정도는
▶ 당혹스런 일들이 일어나고 주인없는 정보를 놓고는 분쟁도 일어날 수 있을 듯한데, 관련 대책은 없나?
=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무 대책도 현재는 없다.
물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별 사이트마다 사망자의 아이디를 삭제하는 등의 일종의 방침 정도는
세워져 있지만, 일반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은 없다.
▶ 사망자 온라인 정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이유는 뭔가.
= 크게 기술적인 문제와 문화적인 문제, 법적인 문제, 도의적 문제의 네 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 기술적인 문제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는 사망여부를 알 방법이 없다.
행정안전부가 사망정보를 관리하고 있지만, 외부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기업은 관련 정보에
▶ 사망자 온라인 정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이유는 뭔가.
= 크게 기술적인 문제와 문화적인 문제, 법적인 문제, 도의적 문제의 네 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 기술적인 문제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는 사망여부를 알 방법이 없다.
행정안전부가 사망정보를 관리하고 있지만, 외부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기업은 관련 정보에
면서 "기술적으로도 사망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법적으로는 어떤가?= 미니홈피와 같은 사망자가 관리하던 개인정보를 과연 민법상 상속의 주체로 볼 수 있는
▶ 법적으로는 어떤가?= 미니홈피와 같은 사망자가 관리하던 개인정보를 과연 민법상 상속의 주체로 볼 수 있는
지가 관건이다.
미니홈피를 상속이 가능한 일종의 재산으로 본다면, 사망자의 상속권을 갖고 있는 가족이 이에 대한 승계권을
미니홈피를 상속이 가능한 일종의 재산으로 본다면, 사망자의 상속권을 갖고 있는 가족이 이에 대한 승계권을
요구할 수도 있다.
실제로 싸이월드의 경우는, 가족이 요청할 경우 확인절차를 거친 뒤 망자 미니홈피의 운영권한을 직계가족에게
실제로 싸이월드의 경우는, 가족이 요청할 경우 확인절차를 거친 뒤 망자 미니홈피의 운영권한을 직계가족에게
승계시켜주고 있다.
▶ 가족이 승계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 '누구나 한 가지 이상의 비밀을 갖고 있다'는 말이 있다. 망자에게도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을 권리가
▶ 가족이 승계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 '누구나 한 가지 이상의 비밀을 갖고 있다'는 말이 있다. 망자에게도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예컨대 망자가 정말 숨기고 싶은 이메일 내용이나 미니홈피 글이 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 내용이 정말 알려
예컨대 망자가 정말 숨기고 싶은 이메일 내용이나 미니홈피 글이 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 내용이 정말 알려
져서는 곤란한, 지극히 사적인 영역의 내용일지도 모른다.
아무리 가족이라도 망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권리는 없기 때문에, 과연 법적으로 이를 어떻게 풀어야할지 명
아무리 가족이라도 망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권리는 없기 때문에, 과연 법적으로 이를 어떻게 풀어야할지 명
확한 기준이 없다.
대법원 관계자는 "미니홈피를 '상속'의 개념으로 접근하게 되면 상속권이 있는 가족에게 망자의 미니홈피가 넘
대법원 관계자는 "미니홈피를 '상속'의 개념으로 접근하게 되면 상속권이 있는 가족에게 망자의 미니홈피가 넘
사람이 미니홈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 문화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된 지 10년이 갓 지난 만큼, 이용자 분포를 보면 노령층보다 청장년층이 압도
▶ 문화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된 지 10년이 갓 지난 만큼, 이용자 분포를 보면 노령층보다 청장년층이 압도
적으로 많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데, 실제로 싸이월드 이용자의 경우 50대가 3.2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데, 실제로 싸이월드 이용자의 경우 50대가 3.28%,
60대가 1.91%, 70대 0.59%, 80대는 0.12%에 불과하다.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건 젊은층이고, 이들은 자연히 자신의 '죽음'과 관련한 이러저러한 문제들 특히 온라인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건 젊은층이고, 이들은 자연히 자신의 '죽음'과 관련한 이러저러한 문제들 특히 온라인
상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떠올려 본 적이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도 이용자 대부분이 청장년층이기 때문에 별다른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도 이용자 대부분이 청장년층이기 때문에 별다른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또 서비스 제공 업체는 노령층 이용자가 사망하더라도 온라인 상에 남겨진 이들의 정보에 대해서는 그 처리 방법
또 서비스 제공 업체는 노령층 이용자가 사망하더라도 온라인 상에 남겨진 이들의 정보에 대해서는 그 처리 방법
을 두고 큰 고민을 하지 않아왔다.
▶ 마지막으로 도의적인 문제는 어떤 것인가?
= 지극히 현실적인 내용이다.
즉, 지인을 떠나보낸 것도 모자라 온라인에 남아 있던 고인의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든 다룬다는 것 자체가 옳지
▶ 마지막으로 도의적인 문제는 어떤 것인가?
= 지극히 현실적인 내용이다.
즉, 지인을 떠나보낸 것도 모자라 온라인에 남아 있던 고인의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든 다룬다는 것 자체가 옳지
않다는 인식이다.
실제로 고 최진실 씨 등 유명 연예인의 미니홈피에는 아직도 많은 누리꾼들이 주기마다 추모의 글을 남긴다.
대학생 A(26)씨는 "사망한 연예인의 미니홈피를 가끔 방문해 추모의 글을 남기곤 했다"면서 "사람이 죽자마자
실제로 고 최진실 씨 등 유명 연예인의 미니홈피에는 아직도 많은 누리꾼들이 주기마다 추모의 글을 남긴다.
대학생 A(26)씨는 "사망한 연예인의 미니홈피를 가끔 방문해 추모의 글을 남기곤 했다"면서 "사람이 죽자마자
정보를 어떻게 할지 논의하는 것 자체가 너무 냉정한 일"이라고 말했다.
회사원 B(30)씨도 "사망한 가족의 미니홈피 공간을 애도의 글로 채워넣는 경우를 본 적 있다면서 "죽은 사람을
회사원 B(30)씨도 "사망한 가족의 미니홈피 공간을 애도의 글로 채워넣는 경우를 본 적 있다면서 "죽은 사람을
기릴 수 있는 공간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느냐"라고 반문했다.
죽음에 대한 언급 자체가 조심스러운 우리나라 사회에서,'망자의 정보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 자체가 힘을
죽음에 대한 언급 자체가 조심스러운 우리나라 사회에서,'망자의 정보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 자체가 힘을
얻기 힘든 이유이기도 하다.
▶ 앞으로 어떤 대책이 나와야 하나
= 망자의 정보를 유지하든 삭제하든, 어떤 방식으로 다뤄야 할지에 대한 분명한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야 온라인 이용자가 숨지는 경우가 속출하지는 않고 있지만, 언제든 사망회원수가 이용회원수를 넘어
▶ 앞으로 어떤 대책이 나와야 하나
= 망자의 정보를 유지하든 삭제하든, 어떤 방식으로 다뤄야 할지에 대한 분명한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야 온라인 이용자가 숨지는 경우가 속출하지는 않고 있지만, 언제든 사망회원수가 이용회원수를 넘어
서는 때도 올 것이다.
또한 망자의 프라이버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개념인 만큼, 이 기회를 통해 분명한 법적 정의를
또한 망자의 프라이버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개념인 만큼, 이 기회를 통해 분명한 법적 정의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생기면서 많은 것들이 정립되는 과정으로 사회적인 합의를 먼저 이끌어내야 할 것"
이라고 밝혔다.
wicked@cbs.co.kr
wicked@cbs.co.kr